
<12‧3 이후, 쟁점으로 보는 '2025 현재사'>
- 강의 방법 : 현장 강의, 줌라이브 동시 진행
- 강의 일시 : 2025.05.22 ~ 2025.05.22
- 일시: 5월 22일(목) 오후 7~ 9시 장소: 경향신문사 5층 여적향
- 정원 : 100명
강의 소개
1945~2025. 해방 80주년 기획
<12·3 이후, 쟁점으로 보는 '2025 현재사'>
“대한독립 만세, 만세, 만세” 80년 전 이 땅에 만세의 외침과 함께 새 세상이 찾아왔습니다.
올해는 해방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입니다. 이후 대한민국의 맥박은 쉼없이 뛰었습니다. 그러나 분열과 갈등은 역동 뒤 어두운 상처로 남았습니다. 역사적 사실을 다르게 기억하고 해석하는 사이, 사회의 분열과 갈등은 깊어졌습니다.
경향신문 후마니타스연구소는 역사적 쟁점들을 통해 오늘날 한국 사회의 분열을 이해하고, 다른 미래를 만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합니다. 세번째 강좌는 김정인 춘천교대 교수를 모십니다. 주제는 ' 5·18, ‘탈진실’을 넘어 ‘보편 기억’. 한국 민주주의 역사 3부작을 집필한 김 교수는 강의에서 5·18이 우리 모두가 함께 공감하는 보편기억으로 자리잡기까지의 험난한 여정을 트라우마를 다룬 문학과 영상 작품을 통해 살펴 봅니다.
<3강> 5·18, ‘탈진실’을 넘어 ‘보편 기억’으로
일시: 5월 22일(목) 오후 7-9시 / 수강료 1만 5천원
현장· 줌 라이브 동시 진행. 현장강의 장소 (서울 중구 정동 경향신문사 5층 여적향)
5·18이 역사 부정이라는 탈진실의 장애물을 넘어 우리 모두가 함께 공감하는 '너와 나의 보편기억'으로 자리잡는 데는 40여년에 가까운 긴 세월이 걸렸습니다. 5·18을 다룬 문학과 영상 작품을 통해 소중한 민주주의 가치인 공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 보고자 합니다.
- 과거청산, 그러나 현실은
- 5·18의 트라우마, 현재진행형
- 5·18, 보편기억화의 길
- 공감, 그리고 민주주의
■ 매월 강의 전 1강좌씩 신청 받습니다.
- 신청방법 : 경향신문 후마니타스연구소 홈페이지(https://humanitas.khan.co.kr )에서 수강신청 후 계좌 입금
강좌 신청 시 이름 뒤에 “현장” 혹은 “줌” 으로 신청방식 표기 부탁드립니다.
ex) 현장 참여 시 - 이름(현장) / 줌 참여시 - 이름(줌)
- 납부 계좌: 하나은행 071-22-01761-8(예금주 경향신문)
신청 후 입금주실때에도 이름 뒤에 현장 혹은 줌 으로 신청방식 표기 부탁드립니다.
- 문의(02)3701-1046/1047
※ 현장강의는 40명 선착순 마감입니다. 서둘러 주세요. 마감 후엔 줌 강의만 가능합니다.
※ 강의 당일 현장/줌 참석 변경 불가
- 강의 하루전까지(5/21)만 현장/줌 참석 변경이 가능하오니, 신중하게 참여 방식을 선택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줌으로 참석하시는 분들께는 줌 링크와 비밀번호를 강의 당일 오후에 문자 및 메일로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 이후 강의 일정
4강 6월 26일(목) 한·일협정 60년, 미완의 과거청산과 한·일 관계 (김민철 경희대 교수)
5강 7월 24일(목) 박정희에 던지는 질문, 경제개발과 민주주의의 관계는? (박태균 서울대 교수)
6강 8월 28일(목) ‘친일’, ‘반공’의 계보와 상호연관성 (강성현 성공회대 교수)
7강 10월 23일(목) 남북관계의 어제와 오늘, 한반도의 미래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
8강 11월 27일(목) 복합위기 속 한국 민주주의의 전망과 과제(신진욱 중앙대 교수)
* 일정 및 강사는 변동 가능성 있습니다.
* 신청 일정은 이전강좌 종료 후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환불 규정
- 강의 시작 1일 전까지 수강료 전액 환불
교육 일정
회차 | 일시 | 강의 주제 | 기타 |
---|---|---|---|
1강 | 2025.5.22(목) - 오후 7~9시 | 제 3강 <5·18, '탈진실'을 넘어 '보편 기억'으로> |
강사 정보

- 춘천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
-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대통령기록관리전문위원회 위원장, 참여연대 운영위원장 역임
- 저서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 <모두의 민주주의>,<대학과 권력>, <너와 나의 5·18>(공저) 등